Suki Seokyeong Kang
Suki Seokyeong Kang (1977-2025, Korean) employs painting, installation, video and choreography in an ever−expanding vocabulary. She not only extracts narratives from her own body and history but also uses research to explore and reinterpret traditional forms and methodologies from Korean culture, weaving them together into a unique system of formal logic. Kang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contemporary translations of the concept of true view (眞景) as a framework to question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in today's society. As her different bodies of work organically evolve and overlap inside her discursive practice, the artist continually engages narrative frames, space and time to summon past voic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 this way, her installation and videos present an axis of history around which individual experiences can be oriented and grow.
강서경은 회화, 설치, 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자신의 회화적 언어를 확장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작가는 자신의 신체 및 개인사에서 추출한 서사적 요소들뿐 아니라 한국의 여러 전통적 개념과 방법론을 재해석해 자신만의 조형 논리로 직조해 내는데, 특히 ‘진정한 경치(眞景)’에 대한 현대적 표현방식을 실험하며 현 사회 풍경 속 개인의 자리를 고찰한다. 이렇듯 전통이라는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시점으로 소환해 구축해낸 새로운 시공간 속에서 각 작품군은 서로 유기적으로 해쳐 모이며 오늘날 개인이 뿌리내릴 수 있는 역사적 축으로서의 공간적 서사를 제공한다.
강서경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이후 영국 왕립 미술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했다. 《마치》(국제갤러리, 서울, 2024), 《강서경: 버들 북 꾀꼬리》(리움미술관, 서울, 2023), 《사각 생각 삼각》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19-2020), 《Black Mat Oriole》(필라델피아 현대미술관, 2018) 등 개인전을 비롯하여 상하이 비엔날레(2018), 리버풀 비엔날레(2018), 광주비엔날레(2018, 2016),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6), 《Group Mobile》(빌라바실리프 개관전, 파리, 2016), 《발 과 달》(시청각, 서울, 2015), 《치효치효》(갤러리팩토리, 서울, 2013), 《그랜드마더타워》(오래된집, 서울, 2013)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