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 Choong Sup | KUKJE GALLERY
Nov 28, 1995 - Dec 28, 1995
K1
Seoul
INTRODUCTION
Choong-Sup Lim's art, most especially this body-or, if you would, these bodies-of work, animates the inanimate through the contextualization, composition, and/or juxtaposition of forms and materials in ways both sensuous and poetic. His combinations of materials, raw and transformed, natural and synthetic, provoke sensuous response, while the metaphoric suggestivity of his compositions- here so often simulating landscapes(or landscape elements)and, at the same time, conjuring tools, toys or weapons-provides the work's poesis.
The conjunction of these factors, one affecting us in the realm of the senses and the other registering in the realm of our more rarefied sensibilities, bespeaks Lim's belief in and expression of a life force in all matter, a universal "charge" animating even the least organic, most inert of things. This basically Taoist perspective has Western counterparts not only in certain early Christian (and later heretical) creeds but in the ancient Greek philosophic viewpoint of Hylozoism, a viewpoint(cited by Lim in his own writings) which propagated the belief that there is in fact no underlying distinction between dead and living, between matter and spirit.
A purely scientific reading of existence, at least this time, would conform to the hylozoistic view: everything is made up of basic electrical forces which cohere to each other in certain paterns, each particular multiplication of these patterns resulting in a different entity(and, at least according to some theorists, each pattern cohering because its components maintain the memory of having thus cohered previously). Thus everything is linked-or at least linkable -on the sub-atomic level, where this universal force pertains.
임충섭 작품의 주제는 빛과 기억의 화석이다. 빛의 시간과 공간, 과거와 현재, 그리고 우주와 자아와의 만남, 내지는 시각적 대화를 보여준다. 작가는 뉴욕이라는 대도시의 환경에서 발견한 오브제들을 주워 모으기도 하고 어린시절 기억 속에 스며있는 농촌의 일상적인 형상들을 작품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낸다.
그것은 또한 도시문명으로부터 순수한 자연으로의 회귀를 조형적으로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장소의 변이로 인한 사물의 이질성, 현재와 과거간의 역사적 시간성 등은 그의 작품을 형성하고 있는 주요한 문맥이라 할 수 있다.
조각적 오브제 작업, 한지와 안료, 혼합재료를 사용한 콜라쥬 드로잉 등 다양한 양식의 작업에 대해 작가는 "작가와 자연 그리고 물체와의 교감을 통한 원초적 자연의 이미지와 인간의 정신세계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The conjunction of these factors, one affecting us in the realm of the senses and the other registering in the realm of our more rarefied sensibilities, bespeaks Lim's belief in and expression of a life force in all matter, a universal "charge" animating even the least organic, most inert of things. This basically Taoist perspective has Western counterparts not only in certain early Christian (and later heretical) creeds but in the ancient Greek philosophic viewpoint of Hylozoism, a viewpoint(cited by Lim in his own writings) which propagated the belief that there is in fact no underlying distinction between dead and living, between matter and spirit.
A purely scientific reading of existence, at least this time, would conform to the hylozoistic view: everything is made up of basic electrical forces which cohere to each other in certain paterns, each particular multiplication of these patterns resulting in a different entity(and, at least according to some theorists, each pattern cohering because its components maintain the memory of having thus cohered previously). Thus everything is linked-or at least linkable -on the sub-atomic level, where this universal force pertains.
임충섭 작품의 주제는 빛과 기억의 화석이다. 빛의 시간과 공간, 과거와 현재, 그리고 우주와 자아와의 만남, 내지는 시각적 대화를 보여준다. 작가는 뉴욕이라는 대도시의 환경에서 발견한 오브제들을 주워 모으기도 하고 어린시절 기억 속에 스며있는 농촌의 일상적인 형상들을 작품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낸다.
그것은 또한 도시문명으로부터 순수한 자연으로의 회귀를 조형적으로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장소의 변이로 인한 사물의 이질성, 현재와 과거간의 역사적 시간성 등은 그의 작품을 형성하고 있는 주요한 문맥이라 할 수 있다.
조각적 오브제 작업, 한지와 안료, 혼합재료를 사용한 콜라쥬 드로잉 등 다양한 양식의 작업에 대해 작가는 "작가와 자연 그리고 물체와의 교감을 통한 원초적 자연의 이미지와 인간의 정신세계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